코로나19 국면서 그동안 가짜 3M 마스크 1천만개 압수

 

     미국에 유통된 가짜 3M N95 마스크(미국 이민세관단속국 제공)

 

미국에서 가짜 N95 마스크가 유통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최전선에 있는 의료진의 안전도 위협한다는 우려가 나왔다.

우리나라의 KF94처럼 바이러스 차단력이 강한 N95 마스크는 미국에서 주로 의료진이나 코로나19 업무에 투입된 공무원이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가짜 N95 마스크에는 3M 상표까지 찍혀 정품과 구분하기 어렵게 돼 있다고 AP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짜 마스크는 적어도 5개 주의 병원과 의료 시설, 정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유통·보급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국토안보부는 수사상의 이유로 해당 주와 회사는 공개하지 않았다.

코로나19 사태가 1년을 넘기면서 마스크가 부족한 병원이나 개인을 상대로 이러한 가짜 마스크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또 가짜 인터넷 사이트를 개설해 백신이나 개인 보호장비, 또는 해외에서 개발됐다는 치료제를 판매하다가 적발되기도 했다고 수사당국은 밝혔다.

팬데믹 사태 초기에는 소비자에게 바가지를 씌운 사례가 많았지만, 현재는 가짜 상품을 배달하는 수법이 많아졌다고 한다.

 

     가짜 마스크 유통 단속(미국 이민세관단속국 제공)

전세계에서 N95 마스크를 가장 많이 공급하는 3M사는 지난해에만 20억 장을 공급했지만, 물량이 부족했던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가짜 업체들이 다수 등장했다.

이에 따라 3M은 홈페이지에 포장 상태나 로고 등으로 알 수 있는 가짜 상품 구분법까지 올려놨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토안보부와 국경 수비대, 식품의약국(FDA), 연방수사국(FBI) 요원 등과 협력해 가짜 상품 적발에 나섰고, 수백 명을 검거했다.

그동안 1천250회 넘게 수색을 벌였고, 가짜 3M 마스크만 1천만 개 압수했다.

국토안보부는 가짜 3M N95 마스크로 의심되는 모델 '1860'과 '1860S'를 공급받은 주와 병원에 경고문을 보냈다.

워싱턴주에서는 여러 회사에서 납품받은 마스크를 조사한 결과 140만 달러 분량의 30만 개가 가짜인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오클라호마주의 원유 저장고

 

국제 유가는 10일 미국의 원유 재고 감소에 2년여 만의 최장기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0.6%(0.32달러) 오른 58.6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WTI는 8거래일 연속 올라 지난 2019년 1월10일 이후 가장 오랜 기간 상승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4월물 브렌트유는 오후 3시39분 현재 배럴당 0.3%(0.19달러) 오른 61.2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주 미 원유 재고가 660만 배럴 감소했다는 미 에너지정보청(EIA) 발표가 유가 랠리를 이어가는 원동력이 됐다. 이는 시장 전망치(270만 배럴 감소)를 웃돈 감소폭이다.

국제 금값도 소폭 올랐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0.3%(5.20달러) 오른 1,842.7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조선중앙통신 논평 "땅 찬탈하려는 섬나라 족속 책동 용납 안 해"

 

북한이 최근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놓고 "날강도적 행위"이자 "천년숙적"이라며 강한 비판을 쏟아냈다.

조선중앙통신은 11일 논평을 내고 "전범국인 일본이 독도 관련 자료들을 날조해내며 재침 책동에 미쳐 날뛰는 것은 악독한 식민지통치로 지울 수 없는 아픈 상처를 입은 우리 민족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독이며, 도적이 매를 드는 격의 파렴치한 날강도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통신은 "일본이 자위대 무력 질량적 증대와 함께 파렴치한 독도 강탈 책동에 계속 매달리고 있는 것은 재침 야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라며 "선조들이 물려준 살붙이와도 같은 땅을 또다시 찬탈하려 드는 섬나라 족속들의 책동을 절대로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을 향해 "천년숙적"이라고 지목하고 "일본 반동들은 날강도적인 영토강탈 책동이 초래할 재앙을 똑똑히 알고 분별없이 날뛰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번 논평은 일본 정부가 연초부터 독도 영유권 주장을 강화한 가운데 나왔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29일 독도와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우리 민족에>)열도, 쿠릴 섬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담은 홈페이지에 독도 관련 내용을 보강했다.

앞서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외무상이 정기국회 외교 연설에서 "다케시마는 역사적 사실에 비춰 봐도 국제법상으로도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발언했고, 최근에는 우익성향 산케이(産經)신문이 이 같은 주장에 힘을 보태고 있다.

“여성 많으면 회의 길어져” 발언에 국내외 사퇴 압박

 

  모리 요시로 도쿄올림픽·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장.

 

모리 요시로(森喜朗·83)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회장이 '여성 멸시' 발언에 책임을 지고 사퇴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올림픽 준비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가뜩이나 도쿄올림픽 회의론이 수그러들지 않은 상황에서 최고 책임자 부재 사태에 직면하게 됐기 때문이다.

  

11일 교도통신과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모리 회장은 회장직 사퇴 결심을 굳히고 주변 인사들에게 사임 의향을 전달했다.

모리 회장은 오는 12일 조직위가 개최하는 이사·평의원 긴급 합동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사의를 표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일본 언론들은 전했다.

앞서 모리 회장은 지난 3일 열린 일본올림픽위원회(JOC) 임시 평의원회에서 여성 이사 증원 문제를 언급하면서 "여성이 많은 이사회는 (회의 진행에)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여성 멸시 논란이 제기되자 모리 회장은 다음 날 취재진 앞에서 자신의 발언에 대해 사죄했지만, 회장직에서 사퇴할 의사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 국내외 비판 여론이 비등하고 도쿄올림픽 자원봉사자들이 무더기로 사퇴하는 등 모리 회장의 사임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계속 커졌다.

모리 회장의 사죄로 끝난 문제라던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선수와 올림픽 후원사 등의 반발에 지난 9일 모리 회장의 발언은 "완전히 부적절하다"고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사태가 계속 악화하자 일본 여권에서도 모리 회장 퇴진론이 부상했다.

집권 자민당의 노다 세이코(野田聖子) 간사장 대행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모리 회장의 거취와 관련 "일본이라는 나라 자체가 오도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확실히 많은 목소리를 받아들여 (모리 회장) 스스로 방향을 제시해줬으면 한다"며 자진 사퇴를 요구하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도 "(모리 회장이) 그만둘 수밖에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전했다.

 

여성 멸시 모리 발언에…입헌민주당, 공산당 등 일본 야당 소속 여성 의원들이 지난 9일 열린 중의원(하원) 본회의에 모리 요시로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회장의 성 차별 발언에 항의하는 뜻으로 흰옷을 입고 입장하고 있다.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도쿄도(東京都) 지사도 전날 취재진에 이달 중으로 예정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 모리 회장, 하시모토 세이코(橋本聖子) 올림픽 담당상 등이 참여하는 도쿄올림픽 4자 회담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표명, 사실상 모리 회장의 퇴진을 압박했다.

개최 도시의 수장인 고이케 지사의 이런 발언에 일본 정부와 자민당, 조직위 관계자들이 동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마(群馬)현과 돗토리(鳥取)현 등 일부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지사들도 "올림픽을 앞둔 일본의 국익을 크게 훼손하고 있다"며 모리 회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도쿄올림픽 최대 후원사 중 하나인 도요타자동차도 모리 회장의 발언이 "도요타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관과 달라 정말로 유감"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모리 회장은 결국 자신의 발언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는 모양새가 됐지만, 6개월 앞으로 다가온 도쿄올림픽 준비에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2014년 1월 조직위 회장에 취임한 모리 회장은 총리를 역임한 거물로 스포츠 분야에도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재계의 탄탄한 인맥을 토대로 올림픽 준비를 주도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런 인물이 회장직에서 물러남에 따라 도쿄올림픽 개최를 준비하는 조직위는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일본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긴급사태가 발령된 상황이고, 미국과 유럽 등 해외에서 여전히 코로나19가 맹위를 떨치고 있어 도쿄올림픽 회의론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교도통신은 "대회 개최 여부를 둘러싼 회의론 속에 (모리 회장의 사퇴로) 개최 준비는 더 혼미해졌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