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인력·부서배치 변동 업무 분담 조정

 

차량을 타고 출근 중인 윤석열 검찰총장 모습.

 

윤석열 검찰총장과 가족 관련 고소·고발 사건이 서울중앙지검 내부에서 재배당됐다. 서울중앙지검은 최근 윤 총장과 부인 김건희씨, 장모 최아무개씨가 고소·고발된 사건을 형사1(부장 변필건)에서 형사6(부장 박순배)로 다시 배당해 수사하도록 했다고 16일 밝혔다.

형사1부는 인권·명예보호 사건을, 형사6부는 지식재산·문화범죄 사건을 전담한다. 전국 형사부 중 선임 부서인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는 공직자 범죄 등의 중요 사건도 많이 배당된다. ·언 유착 의혹을 수사했던 부서도 형사1부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윤 총장 관련 사건이 재배당된 이유에 대해 “9월 초 검찰 인사이동에 따른 직제 개편이 있어서 형사부 인력과 부서 배치가 크게 변동됐다. 그 과정에서 사건이나 부서별 업무 분담 조정이 있었다. 일부 사건이 거기에 맞춰 재배당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중앙지검에서 수사 중인 윤 총장 가족 관련 사건은 소송사기,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 등이다. 2003년 서울 송파구 스포츠센터의 채권을 최씨와 함께 사들인 정대택씨는 이익의 절반을 나누기로 했으나 약정서가 강요에 의해 작성됐다는 법무사 백아무개씨의 증언 탓에 강요·사기미수죄로 처벌받았다.

그러나 백씨가 최씨에게서 2억원 아파트를 받는 대가로 거짓증언을 했다고 자백하면서 백씨는 변호사법 위반죄로 실형을 선고받았다. 정씨는 이를 근거로 최씨와 김씨를 모해위증 교사 혐의로 고소했으나 불기소 처분되고 정씨만 무고죄로 처벌받았다.

정씨는 지난 2월 최씨와 김씨를 소송사기 혐의 등으로 다시 고소했고 이들에 대한 불기소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며 윤 총장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했다.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에 배당됐으나 최씨의 사문서위조 혐의는 비슷한 사건을 수사 중이던 의정부지검으로 이송됐고 최씨는 기소됐다.

지난 4월엔 총선을 앞두고 열린민주당 조대진·최강욱·황희석 후보가 윤 총장의 부인 김씨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으로 고발했다. 2010~2011년 도이치모터스의 수상한 주식 거래에 전주로 참여했다는 의혹이다. < 김정필 기자 >

 

 


나사 새 주기 201912월 시작발표

흑점,  11년 주기로 극소기·극대기 반복

20257월 극대기에 흑점 200개 예상

 

태양 극대기와 극소기의 차이. 왼쪽은 극대기(20144), 오른쪽은 극소기(201912) 때의 태양 모습. 나사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나사)이 태양 활동이 25번째 주기에 들어섰다고 16일 공식 발표했다.

나사는 15일 국립해양대기국(NOAA) 전문가들과 함께 '태양 25주기 예측위원회'를 열어 논의한 결과 태양 활동이 지난해 12월 극소기를 지나 새로운 주기를 시작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태양 활동은 약 11년 주기로 극소기와 극대기를 반복한다. 과학자들은 태양 흑점의 변화를 통해 이를 판단하는데, 태양 활동이 워낙 변덕스러워 주기 변화를 확정하기까지는 보통 몇개월이 걸린다.

흑점은 태양 플레어나 코로나 질량 방출 같은 폭발 현상의 진원지로, 이곳에서 발생한 강력한 자기장이 열 전달을 방해하는 탓에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 검게 보인다. 따라서 흑점 수가 줄어들면 태양 표면의 폭발 현상이 줄어든다는 걸 뜻한다.

흑점이 많아지면 지구의 통신과 전력망, 항공기 운항 시스템, 우주선 등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태양 주기의 변화를 관찰하고 결정하는 것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일종의 우주 기상예보 활동이다. 나사는 이번에 새로운 태양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브뤼셀의 벨기에왕립천문대에 있는 `태양흑점 지수와 장기태양관측을 위한 세계데이터센터'의 월간 흑점 관측 자료를 참고했다.

태양활동 24주기(2008~2019)의 흑점수 변화. http://www.sidc.be/silso/dayssnplot

태양 활동 강도는 평균 이하...24번째 주기 비슷

나사는 이번 주기는 앞으로 태양 활동이 점차 활발해지면서 20257월에 극대기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극대기에는 보통 200개가 넘는 흑점을 볼 수 있다. 예측위원회 공동의장이자 미 해양대기국 우주기상예보센터의 태양물리학자인 더그 비세커는 이번 주기의 태양 활동은 24번째 주기와 마찬가지로 평균 이하의 활동 강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그러나 평균 이하의 주기라고 해서 극단적인 우주기상 현상이 일어날 위험이 없다는 뜻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나사는 2024년 우주비행사를 달에 보내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추진중인데 이때는 태양주기가 정점을 향해 치닫는 시기다. 이에 따라 우주비행사가 위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선 앞으로 면밀한 태양 활동 관측이 필요하다.

1600년 이후의 태양 흑점 관측 결과. 파란색 그래프가 태양활동 주기 숫자를 매긴 구간이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태양 활동 주기는 18세기 중반 스위스 천문학자 루돌프 울프가 제안한 흑점 지수 계산법에 근거해 1755~1766년을 1주기로 명명했으며, 이후 11년마다 주기 숫자를 더해가고 있다.

태양 흑점이 11년 주기로 증감을 반복하는 것은 태양의 자전 때문이다. 태양의 중심은 27일에 한 번, 극지는 이보다 더 느리게 자전한다. 태양이 고체가 아닌 플라스마 상태의 유체여서 극지보다 적도쪽 회전 속도가 빠르다. 이에 따라 나중엔 북극과 남극이 서로 바뀌는 `자기장 역전' 현상이 발생한다. 대략 11년마다 이런 일이 일어난다. 따라서 22년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돌아온다. < 곽노필 기자 >

지구 북반구 141년 만에 가장 더웠다

● WORLD 2020. 9. 17. 11:10 Posted by SisaHan

 지난 6~8월 지구 지표면과 해수면 온도를 20세기 평균과 비교한 퍼센타일 그래픽.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지난 6~8월 기온이 역대 가장 높은 곳으로 기록된 지역이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


각종 이상기후 징후가 유난했던 올여름 지구 북반구 온도가 역대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지난 6~8월 북반구의 지표면, 해수면 온도가 1880년 이래 141년 만에 가장 높았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는 20세기 평균(15.6)보다 1.17도 높은 것으로, 이전 공동 1위였던 지난해와 2016년 기록을 새로 쓴 것이다. 지난해와 2016년 북반구 여름은 20세기 평균보다 1.13도 높았다.

지구 전체로는 올여름이 역대 세번째로 더운 여름이었다. 6~8월 지구 지표면과 해수면 온도는 20세기 평균보다 0.92도 높아, 2016년과 2019년에 이어 3위였다. 해양대기청은 지금까지 가장 더웠던 다섯 해가 모두 2015년 이후라고 강조했다. < 박기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