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합숙체제 공표했지만 지도부 일부만 ‘합숙 대기’
“선언적 의지표현 아니냐” 
김대표 전국 순회투쟁도
“국정원 이슈 묻히나” 수군

“오늘부터 의원들은 국회에서 쪽잠을 자면서 죽기 살기로 원내 투쟁을 벌이고 민주주의와 민생을 살려나갈 것이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지난 24일 조건없는 등원을 공표하며 원내외 병행투쟁 강화를 다짐했다. 자신은 “용맹정진”의 각오로 전국 순회 투쟁에 나서고, 의원들은 국회에서 24시간 합숙 비상체제에 돌입한다고 했다.
 
하지만 결기 어린 선언과 달리 실제 원내외 병행투쟁은 느슨하게 흘러가고 있다.
김 대표의 말대로라면, 민주당 의원들은 24일부터 즉각 국회 의원회관에서 쪽잠을 자며 현안들을 파헤치기 위한 비상대기에 들어갈 듯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원내대표실에 ‘24시간 비상국회 운영본부’ 간판까지 내건 24일, 최고위원들과 전병헌 원내대표·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 민병두 전략홍보본부장 등 지도부 일부만이 서울광장 천막 또는 국회에서 24시간 합숙대기에 임했다. 현판의 ‘비상국회’란 표현이 무색할 정도다.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25일 “‘24시간 비상국회’가 23일 결정됐기에, 의원들은 다음주부터 참여할 것”이라고 했다. 의원실마다 간이침대 등을 준비해야 하고, 24시간 비상국회를 어떻게 운영할지도 추가로 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원들은 국정감사 철저 준비 등으로 정기국회의 내실을 기해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24시간 국회 합숙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중진 의원은 “24시간 비상국회는 열심히 하겠다는, 선언적인 의지표현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김 대표의 전국 순회투쟁을 두고도 지도부는 전선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강력한 장외투쟁’이라고 부르지만, 실제론 ‘민심탐방·민심청취 투어’의 성격이 짙다.
 
김 대표는 24일 경로당(의정부), 25일 어린이집(성남) 등을 방문했다. 당 안에선 정부의 복지공약 후퇴 등 민생문제도 중요하지만, 거리에 천막까지 치며 싸웠던 국정원의 국기문란 이슈가 묻히는 건 아닌지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당장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이제 우린 (국정원 국기문란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더는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여야 대표와의 3자회담에서 박 대통령이 사과할 의지가 없음을 확인했으니, 기대를 접겠다는 뜻이다.
다른 당직자는 “당 대표가 민주주의 회복과 민생 살리기를 위한 일정을 복합적으로 진행할 것이다. 특히 지역을 순회하며 시민사회 인사·원로 등을 만나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의견을 구할 것이며, 국정원 개혁이 국회에서 완성될 때까지 원외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송호진 기자 >

 

지구, 온난화 맞나? 식는 게 맞나?

● 토픽 2013. 9. 23. 15:44 Posted by SisaHan


북극 빙하 늘고·허리케인 실종… 미니 빙하기설 부상

북극 빙하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면서 ‘지구 온난화 이론’이 구설수에 올랐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최근 미항공우주국(NASA)이 지난해 8월 촬영한 사진과 올해 8월에 찍은 사진을 비교한 결과 북극 빙하 면적이 약 92만 평방마일로 늘었다고 보도했다. 이는 1년 전에 비해 60% 증가한 것으로, 유럽 대륙 크기의 반정도 규모다. 이로 인해 ‘지구온난화 이론’에 의문이 들면서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오는 10월 코펜하겐 총회에 앞서 지난달 긴급회의까지 소집했다.
기상학자들은 기상이변이 많아진 것도 ‘지구 온난화 이론’에 의문이 드는 한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지난 9일 인터넷판에서 올해 여름 실종된 허리케인도 ‘지구 온난화 이론’에 의문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미국해양대기국(NOA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동안 시간당 74마일이 넘는 허리케인은 단 한 차례도 발생하지 않았다. 학자들은 올 여름 대서양 일대가 건조하고 따뜻한 대기로 안정화하면서 허리케인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허리케인이 2005년 이후 미국에 상륙하지 않은 이유는 정확하게 설명되지 않고 있다.
 
뉴욕타임스도 9일 IPCC가 10월 총회에서 내놓을 기후변화 보고서 초안에서 지구온난화가 이상 기후를 유발한다는 과학적 확실성이 줄어든 것으로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에 반해 지구 온도가 식고 있다는 ‘미니 빙하기 학설’은 힘을 얻고 있다.
영국 텔레그라프가 전한 IPCC 초안을 보면 ‘미니 빙하기설’이 ‘지구 온난화 이론’을 압도하고 있다. 이 초안에 따르면 IPCC에 자금을 지원하는 정부들은 지난 1997년 이후 지구온난화의 중단 현상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부족하다며 기존의 보고서에서 1500개를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 지난 150년 동안 온도 상승이 탄소배출에 의한 온실효과 때문인지도 핵심 논쟁 거리다. ‘지구 온난화 이론’이 흔들리자 이를 토대로 구축된 각 국의 환경보호 정책도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허벅지 가늘수록 당뇨병에 취약

● 건강 Life 2013. 9. 23. 15:42 Posted by SisaHan

둘레 1㎝ 줄면 당뇨위험 9.6% 증가

허벅지가 가늘수록 당뇨병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벅지가 가늘면 전반적으로 큰 근육량이 적어 대사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2009∼2011년에 건강검진을 받은 30∼79세 성인 남녀 32만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허벅지 둘레가 1㎝ 줄어들면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남자는 8.3%, 여자는 9.6%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허벅지 둘레가 43㎝ 미만인 남자는 60㎝ 이상인 남자에 비해 당뇨병을 가졌을 확률이 4배나 높았고, 허벅지 둘레가 43㎝ 미만인 여자는 57㎝ 이상인 여자에 비해 당뇨병 위험이 무려 5.4배에 달했다.
 
연구팀은 대사질환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허리둘레와 신체충실지수(BMI), 즉 비만지수를 같은 조건으로 보정한 후 허벅지 둘레와 당뇨병 유병 여부를 조사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또 연령과 허벅지 둘레, 신체충실지수, 허리둘레 등 각종 신체 계측치를 근거로 만든 ‘당뇨병 위험도 모형’을 일반인 16만명에게 적용한 결과, 당뇨병 예측 정확도가 81.1%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간단한 신체 측정만으로 개인의 당뇨병 위험도를 일정 수준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당뇨병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예측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