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신광교회에 모인 미동부지역 원주민 선교팀원들.


원주민선교 연합회 외 개교회 10여곳… 체계적 활동 아쉬움도

일부 문화·특성 이해없이 
의욕만으로 접근 실망사례도 
사전 경험공유·교육훈련 필요 
미국은 올해 40여교회 연합선교

교회와 성도들의 원주민 선교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높아지고 있다. 올 여름의 경우 원주민선교연합회(대표 김동승 목사)를 통한 연합활동에 캐나다지역의 경우 온타리오와 퀘벡을 포함, 10여개 교회가 참가해 150명 안팎 규모로 선교활동에 나서고 있다. 
연합회와는 별도로 개교회들도 원주민선교에 나서는 숫자가 매년 불어나 올해 단기선교팀을 보내는 교회가 부쩍 늘었다. 온타리오 지역 교회 가운데 올해 원주민선교에 나서는 사례로는 해마다 단기선교팀을 보내고 있는 소망교회(담임 서인구 목사), 수정교회(담임 주권태 목사)를 비롯, 토론토 한인장로교회(담임 손명수 목사), 런던 한인교회(담임 장성환 목사), 하나님의 지팡이교회(담임 박준호 목사), 성산교회(담임 유윤호 목사), 동신교회(담임 박태겸 목사), 이글스필드 한인교회(담임 고영민 목사), 본 한인교회(담임 한석현 목사), 윈저 제일교회(담임 박영덕 목사) 등 공표된 곳만으로도 10여 곳에 이른다. 이는 수년 전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원주민 선교에 대한 이해와 참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긍정적 분석을 낳고있다.
 
그러나 참여 확산과는 별도로 일부 의욕만 앞세운 교회들이 경험없이 선교에 나섰다가 원주민문화와 생활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실패하고 지속하지 못하는 사례도 없지않아 체계적인 훈련과 경험공유를 통한 노하우가 선행돼야 한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원주민 선교연합회 김동승 목사는 “미국의 경우 연합활동에 참여도가 높은데 반해 캐나다쪽은 개교회 중심으로 선교에 나서는 곳이 많아 정확한 집계는 어렵지만, 갈수록 늘고있는 것은 확실하며, 반가운 일”이라고 밝히면서도 “그런데 일부 개교회 선교활동은 원주민 문화 및 실정에 대한 이해와 경험부족 등으로 오래 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까울 때가 있다”고 전했다. 김 목사에 따르면 연합회에 선교계획을 상의하는 교회에 관련 경험과 자료를 나누고 훈련에도 참여해 도움을 주지만, 전혀 연락없이 나서는 교회들이 더 많은 것 같고 일부 현장에서 실망하고 뜻을 접는 경우도 전해 듣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연합회와 함께하는 연합선교가 활발해 금년에는 동부지역에서만 40여개 교회에서 모두 370여명이 참가한다. 이들은 지난 6월30일 주일 뉴욕신광교회에서 전체모임을 갖고 매뉴얼을 나누며 사전 선교훈련에 들어갔다. 미 동부 선교단은 오는 8월3일 뉴욕에서 다시 모여 파송예배를 드리고 미국과 캐나다 북미원주민 보호구역에서 8월4일부터 10일까지 선교활동에 나선다. 예년에 비해 지역도 2곳이 새롭게 늘어났다고 선교훈련에 참여한 김 목사가 전했다.
 
북미지역 원주민은 562종족 6백만 명에 달한다. 캐나다에 150만명 미국에 450만명이 살고있고, 캐나다에 2,557개와 미국에 600여개의 보호구역이 있다. 보호구역내 원주민 청소년의 자살율은 세계에서 가장 높고 원주민의 80-90%는 알코올중독으로 전해진다. 캐나다의 평균수명은 남자 79세, 여자 80세인 반면 원주민은 평균수명 45세에 불과하다. 과거 캐나다 총리에게 입양된 원주민 아이가 나중에 알콜중죽이 되고 원주민을 성추행해 재판을 받은 적도 있다고 김 목사는 밝혔다.
김동승 목사는 “북미에 하나님은 200만 한민족 디아스포라를 옮겨 놓으셨고 4천5백여 한인교회를 세우셨다. 한국인들은 일제 36년간의 한민족 일제 강점을 통해 경험한 한민족의 민족적 아픔을 통해 북미 원주민들의 입장과 아픔을 같이 할 수 있다.”면서 “한민족, 특히 북미주 한인들은 북미원주민 선교의 히든 카드”라고 한인교회들의 원주민선교 의의를 강조했다.
아울러 원주민선교는 보호구역에 따라 선교내용도 다르다고 전했다. 문이 활짝 열린곳은 원주민교회 성도들과 전도를 나서기도 하지만, 문이 아직 열리지 않은 곳에서는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섬김에 나서며, 국악공연과 찬양, 그리고 태권도 시범과 한국음식 등 문화교류를 통해 북미원주민들의 닫힌 마음의 문을 두드린다고 덧붙였다.
 
< 문의: 647-221-0777 >


▶토론토 총영사관 앞에서 피켓시위하는 시민단체 회원들.


6일, 노스욕에서도… 저녁엔 촛불집회

모국 국가정보원의 불법 선거개입과 정치공작을 규탄하는 토론토 시민단체 항의시위 및 촛불집회가 주말인 6일 오후 토론토 총영사관 앞과 노스욕 시청 앞 멜 라스트맨 광장에서 열렸다.

‘월요봉사회’와 ‘민주포럼’, ‘진보네트워크 희망21’ 등의 회원과 시민들이 참가한 이날 시위는 오후 6시 총영사관 앞에서 규탄 선언문을 낭독하고 총영사관에 선언문을 전달해 입장을 한국정부에 전하도록 했다. 이들 단체는 선언문에서 “국정원의 부정한 선거개입으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국법질서가 위기에 처해있다”고 규탄, “이 참담한 현실을 목격하고도 우리는 그곳을 그리워하거나, 아니면 떠나왔으니 부끄럽다고 외면해야 하나”고 묻고, 국정원 해체와 관련자 처벌, 박근혜 대통령이 책임질 것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어 오후 8시부터 노스욕 멜 라스트맨 광장에서 한인동포와 행인들을 상대로 국정원의 불법적 행태를 알리는 홍보물 배포와 함께 피켓시위에 이어 밤 늦게까지 촛불집회를 열어 관심을 유도했다.


하늘-땅‥ 인재-천재에 놀란 며칠

● Hot 뉴스 2013. 7. 14. 10:30 Posted by SisaHan

퀘벡서 유조열차 탈선 폭발 참사


토론토 폭우에 교통·정전 대란


아시아나항공 미국서 착륙사고


지난 주말을 전후해 안팎에서, 또 하늘과 땅에서 인재(人災)와 천재(天災)가 겹쳐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6일 오후 2시27분(현지시각 오전 11시27분)께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한 아시아나 항공 여객기 214편 B777기가 착륙하던 중 활주로와 충돌했다. 이 사고로 탑승객과 승무원 307명 중 중국 여학생 예멍위안(16), 왕린자(17) 등 2명이 숨지고, 중상자 49명 등 182명이 부상하는 착륙사고가 났다. 사고경위를 조사중인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는 착륙시 꼬리부분이 활주로 끝 방파제에 부딪혀 파손된 아시아나항공 여객기의 운항 속도가 충돌 당시 106노트(시속 196㎞)로 착륙 권장 속도인 137노트(254㎞)보다 훨씬 느렸다고 밝혔다.
 
한편 앞서 이날 새벽 1시15분께 퀘벡에서 기름을 싣고 가던 열차가 탈선하며 폭발해 지금까지 15명이 숨지고 40여명이 실종됐다. 
모두 73개 차량에 원유를 싣고 미국 노스다코타주에서 출발한 이 열차는 이날 퀘벡의 시골 마을 라크메강티크에서 선로를 이탈, 마을을 덮친 뒤 수차례 폭발을 일으켰다. 이 사고로 사람들로 붐비던 술집과 아파트 등 건물 30여채가 불탔다.
 
월요일인 8일 오후에는 대도시 토론토에 큰 수재가 났다. 이날 토론토 지역에 쏟아진 폭우로 시내주요 하천이 범람해 지하철이 물에 잠기며 마비됐고, GO 트레인도 선로가 잠겨 열차가 멈췄다. 또 돈 밸리 파크웨이(DVP)에 물이 넘치며 차량통행이 중단됐다. 이 때문에 퇴근시간 도심교통이 큰 혼잡을 빚었고, 도심 30만 가구에 전기공급이 끊겨 5시간 가까이 시민들이 고통을 겪었다. 피어슨 공항에서는 일부 비행기 운항이 취소됐다.



이정현 “대통령 정통성 부정”…여당, 긴급 최고회의서 성토
반발하던 민주당, 김한길 유감 표명·홍익표 대변인직 사퇴
예정된 대화록 예비열람·공공의료 국조 보고서 채택 무산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12일, 박근혜 대통령을 ‘귀태(鬼胎, 태어나지 말아야 할 사람)의 후손’으로 표현한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변인의 전날 발언을 문제 삼아 국회 일정을 전면 거부한 채 총공세에 나섰다. 예정됐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대화록) 예비 열람과 공공의료 국정조사 결과보고서 채택 등은 잇따라 무산됐다. 민주당은 처음엔 ‘꼬투리 잡기’라고 반발했으나, 결국 9시간 만에 홍 의원이 원내대변인에서 물러나고 김한길 대표가 당 대변인을 통해 유감 표명을 하는 등 사실상 ‘백기’를 들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즉각 수용 대신 13일 지도부 회의에서 민주당 사과의 진정성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밝혀, 여야 대치 국면의 수습 여부는 주말께나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례적으로 이른 아침 청와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홍 원내대변인의 발언에 대해 “국민이 선택한 대통령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자유민주주의에 정면 도전한 것”이라며 국민과 대통령에게 사과할 것을 공식 요구했다. “대선 결과 불복과 막말이 유행인데, 승복하는 것도 소양이자 자질”이라고 한 전날 발언에 견줘 공세 수위를 한껏 높인 것이다.
이 수석의 회견 뒤 새누리당도 예정에 없던 최고위원 회의를 긴급 소집해, 김한길 민주당 대표의 사과와 홍 원내대변인의 사퇴를 촉구했다.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는 “국가원수 개인에 대한 직접적인 명예훼손이고 모독이다. 민주당은 대표의 사과와 (홍 원내대변인에 대한) 응분의 조처를 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도 “정말 해서는 안 될 극언이다. 홍 원내대변인이 ‘인격적인 모욕감을 느꼈다면 유감’이라며 은근슬쩍 넘어가는 내용을 (어제) 밤늦게 문자로 보냈는데, 이 사안은 그렇게 어물쩍 넘어갈 일이 아니다”라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김태흠·강은희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홍 원내대변인의 징계안을 국회 윤리특위에 제출했다.
 
민주당은 홍 원내대변인이 전날 유감 표명을 했는데도 여권이 계속해서 문제 삼는 것은 국정원 정치개입 의혹 국정조사를 지연시키려는 ‘물타기’ 전략이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정국 급랭에 따른 국정원 국정조사 파행 등을 우려한 민주당 지도부는 새누리당과 물밑 접촉을 하는 한편 내부 논의를 거쳐 여권의 요구를 수용하는 쪽으로 돌아섰다. 결국 홍 의원은 저녁 7시30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브리핑 과정에서 있었던 일부 부적절한 발언에 사과 말씀을 드린다. 책임감을 느끼고 원내대변인직을 사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한길 대표는 김관영 수석대변인을 통해 “어제 발언은 보다 신중했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국정원 국정조사 등 모든 국회 일정이 정상화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민주당 사과의 진정성 여부를 판단한 뒤 국회 정상화 문제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홍익표 의원의 사과는 사과 대상에 대한 언급이 없다. 내일(13일) 아침 당 지도부 회의를 열어 사과를 받아들일지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 김수헌, 석진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