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켈러의 자서전 「내가 살아온 이야기」 에 보면, 그가 “내 일생을 통틀어 가장 중요한 날이 있다면 내가 앤 설리번 선생을 만난 날이다”라고 고백했다. 앤 설리번은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한 믿음의 사람이었다. 그 하나님의 사랑으로 헬렌 켈러를 ‘20세기 최대 기적의 주인공’으로 키워낸 것이다.

인생은 만남과 이별로 이루어진다. 인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만남이다. 만남을 통해서 우리 인생은 만들어져 간다. 만남으로 관계가 열리고 이별로 관계가 닫히기도 한다. 사람을 만나다 보면 여러 종류의 사람이 있다. 나에게 행복을 주는 사람도 있고 해를 주는 사람도 있다. 좋은 부모, 좋은 스승, 좋은 친구, 좋은 아내를 만나는 것은, 이 세상에서 나에게 행복을 주는 만남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최고의 만남은 나를 변화시킬 수 있는 만남, 우리 주님과의 만남이다. 주님을 만날 때 우리의 인생관이, 가치관이, 내세관이 변화 된다. 
‘물이 포도주가 되게 하는 만남’ 다시 말해서 나를 변화시킬 수 있는 만남이야말로 최고의 만남이 아닌가? 이 만남은 바로 예수님을 만날 때 이루어진다. 아무런 맛도 없던 맹물이 예수님을 만났을 때 잘 발효되어 색깔이 나고, 향기가 나고, 맛이 생기고, 기쁨이 넘치는 포도주로 변했다. 포도주가 떨어진 가나의 혼인잔치에는 근심 걱정이 몰려왔지만, 예수님을 모시고 있으니 그 근심 걱정은 순식간에 해결되고 기쁨과 환희로 가득 찼다. 예수님을 만나는 것만 큼 우리 인생에 귀한 것은 없다. 

인생은 머물 때보다 떠남을 통해, 붙잡을 때보다 버릴 때, 채울 때보다 비울 때 더 위대해 질 수 있다. 그러나 떠남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떠난 후에 누구를 만나느냐 하는 것이다. 우리 인생이 어떠하든 상관이 없다. 전능하신 주님, 축복하시는 주님, 언약을 지키시는 신실하신 주님을 꼭 만나야 한다. 인생은 어렵다. 광야의 이민 땅, 인생길은 험난한 길이다. 이 험악한 인생에서, 치열한 인생 싸움터에서 예수님을 만나야 승리 할 수 있다. 성경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사람들은 ‘뜻밖의 장소’ 즉 갈 곳을 알지 못하는 광야 타향에서 하나님을 만났다. 떠나는 자가 누리는 축복이며, 인생의 신비이다. 주님은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고통스러운 광야로 보내어 섭리의 손길로 만나 주신다. 고뇌하며 서있는 실패와 좌절의 이 광야에서 우리를 찾으시고 만나기를 원한다. 지금 우리 조국과 우리 모두는 주님의 은혜를 사모하며 만나야 할 때이다. 주님을 만나면 고통 중에도 춤을 출 수 있고, 모든 환경을 역전 시킬 수가 있다. 잔인한 달 사오월이 흘러가고, 싱싱한 나무, 푸르름이 고운 아름다운 유월에는 모든 분들이 예수님을 만나고 은혜를 사모하기를 기원한다.

< 문창준 목사 - 호산나 장로교회 담임목사 >


한인회관에서 열린 5.18 민주항쟁 34주년 기념식 참석자들이 임을 의한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국가기념일 외면‥ 민간위원회 주도 기념식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및 세월호 참사 추모식이 5월18일(일) 오후 5시 토론토 한인회관 대강당에서 80여명의 각계 동포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날 행사는 한국정부의 국가공식기념일 행사 임에도 토론토 총영사관이 주최·주관을 외면하고 정광균 총영사 등 관계자들이 아예 참석도 하지않아 대통령기념사는 생략된 채 민간인들로 구성된 ‘기념식 준비위원회’ 주도로 진행됐다. 미국의 경우 워싱턴에서 주미대사관이 기념식을 주최하고 대사가 참석해 대통령기념사를 대독한 것으로 전해져 “토론토 총영사관은 직무유기를 했다” “시류의 눈치를 보는 비겁한 공관원들” 이라는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기념식은 국민의례에 이어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과 5.18 희생자, 그리고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위한 묵념으로 시작돼 김연수 공동준비위원장이 경과보고를 하고 이진수 한인회장이 기념사를 했으며 정성민 목사(임마누엘 토론토 한인연합교회 담임)와 서산 스님이 추모사를 했다. 이어 유네스코에 등재된 5.18 영상상영과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과 박기순 월요봉사회장의 인사말로 마무리됐다. 
이날 정성민 목사는 추모사에서 “34년 전 광주에서 있었던 5.18 민주화운동이 도화선이 되어 80년대와 90년대 한국의 젊은 지성을 깨우고 정신사를 밝히는 횃불이 되었던 것처럼, 300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가 21세기 개인주의와 황금만능주의에 빠져있는 세대와 젊은 지성을 다시 한번 깨우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라며 “5.18 정신은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라고 강조했다.
 
< 문의: 416-432-2744 >


이번엔 요양원 화재 21명 사망

● COREA 2014. 5. 30. 15:53 Posted by SisaHan

▶28일 새벽 화재로 21명이 숨진 장성 요양원에서 희생자 수습 등 구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와중에 어인 일… 대형 재난 잇달아

액운이 겹친 것인가. 업친데 덥친 격으로 한국에 재난이 잇달고 있다. 세월호 대형 참사가 겨우 한달여를 넘긴 시점에 고양 터미널 화재에 이어 이번에는 요양원 화재로 21명이 사망하는 큰 인명피해가 났다. 또 서울에서는 지하철 방화사건이 터졌다. 세월호 악몽이 가시지 않은 시점에 시민들의 재난 불안이 커지고 있다. 
28일 0시 27분께 장성군 삼계면 효실천사랑나눔요양병원(이하 효사랑병원) 별관 건물 2층에서 불이 나 이날 오전 현재 환자 20명과 간호조무사 1명이 사망했다. 6명은 중상, 1명은 경상을 입어 사망자가 더 늘어날 우려도 크다.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요양병원인 이 병원은 화재 당시 간호조무사 1명이 근무하고, 일부 환자들은 병상에 손이 묶여 숨진 채로 발견됐다. 불이 날 당시 4천656㎡ 규모의 2층짜리 별관에는 간호조무사 1명과 70∼80대 환자 34명 등 총 35명이 있었다.
출동한 소방대원들은 4분 만에 현장에 도착해 다시 2분 만인 0시 33분에 큰불을 잡았다. 0시 55분 잔불 정리를 완료하고 대피하지 못한 환자를 수색했으나 21명이 숨지는 참사를 막지 못했다.
 
이번 참사와 관련, 전남 장성경찰서는 이날 김모(82)씨를 방화 혐의로 긴급체포해 조사하고 있다. 김씨는 불이 나기 1분 전인 이날 0시 26분에 다용도실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장면이 CCTV에 찍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서울에서는 이날 오전 10시 54분께 서울 강남구 도곡동 지하철 3호선 도곡역에 막 진입하려던 오금 방면 전동차 객실에서 60대 남성이 인화물질을 뿌리고 불을 붙였다. 이 남성은 곧 도주했으며, 불은 6분만인 오전 11시 정각에 역사 직원들에 의해 진화됐다. 그러나 객실 및 역사 안에 연기가 들어차면서 승객들은 황급히 대피했다. 
경찰은 이 남성이 짐가방을 들고 있었으며, 객실내 의자에 불을 붙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건 당시 전동차에는 약 200여명의 승객이 타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현장에 150명의 인력과 장비 31대를 출동시켜 승객 대피를 도왔다.
경찰은 즉시 방화 용의자 행방을 추적, 30여분만에 인근 화상전문병원에서 검거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용의자가 방화 과정에서 화상을 입었으며, 피해자로 가장해 구급차에 올라 치료를 받으려다 덜미를 잡혔다고 전했다.
 
앞서 이날 오전 9시6분께는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홈플러스 동대문점 주차장에서 차량 화재로 추정되는 불이 났다. 불은 지상 주차장 5층에 주차돼 있던 스포티지 차량에서 시작돼 27분만에 완진됐다. 소방당국은 일단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앞서 26일에는 경기도 고양시내 대형 쇼핑몰을 갖춘 종합터미널에서 26일 불이나 8명이 숨지고 42명이 부상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이날 오전 9시께 고양시외버스종합터미널 지하 1층 푸드코트 인테리어 공사 현장에서 불이 나 이강수(50)씨 등 8명이 유독가스에 질식해 숨졌다. 당시 터미널과 쇼핑몰 등 건물 내에는 개점을 준비하는 직원과 승객 등 700여명이 있었으며 불이 나자 긴급 대피했다.
이같은 대형 참사가 잇달자 시민들은 “언제나 이런 참사가 안 일어날지…”라며 가슴 아파했다. 공무원 김모씨는 “세월호 사건으로 꽃다운 나이의 학생들이 숨져 가슴이 저려 오는데 노인들까지 화재로 숨져 마음이 미어진다”며 “사건·사고 뉴스를 접하기가 겁난다”고 말했다.